초등학교 전학
초등학교 전학 절차의 핵심은 전출신고와 전입신고이다. 주민센터 방문 진행 또는 정부 24 홈페이지 - 온라인을 통한 거주지의 이전을 통해 함께 초등학교 전학이 진행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공식적 전학 절차의 진행보다 더욱 중요한 것이 어린 자녀가 전학으로 인한 환경의 변화에 유연한 적응을 지원하는 각종 환경의 마련과 심리적 지원이다.
전학시기
초등학생 자녀를 가진 가정의 전학 시기는 항상 의도한 데로 진행되지 않다. 주된 전학이 발생하는 이유-원인이 근무지의 이전에 따른 이사와 같은 주거지의 이전이기 때문이다. 즉 이런 시기를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에 놓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학을 진행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가능하다면 한 학기 또는 한 학년이 완료된 시기에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새로운 변화의 시작 시기에 자녀가 전학하는 상황에 놓이는 것이 자녀의 적응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연유로 가능하다면 학년이 끝난 시기가 가장 최적의 전학 시기이다.
학년이 끝난 이후 진행하는 전학은 새로운 학년의 시작에 유리하다. 즉 새로운 친구 그룹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학년의 초기에 전학을 진행하는 것이 학생 친구 그룹이 이미 형성된 도중에 전학을 진행하는 것보다 자녀의 학교 생활 적응이 유리한 환경이라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학교에서 방과 후 수업 또는 돌봄 교실과 같은 각종 프로그램의 접수가 12월에 신청을 시작한다는 점은 학기 도중에 전학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방과 후 공백에 대한 편리한 진행이 가능하게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학기 중 전학
학기 중 전학이라면 가능하다면 학년 후 전학과 동일한 연유로 한 학기가 마무리된 시점에서 진행하는 것이 자녀의 새로운 환경 적응은 물론이며 각종 교내 프로그램 신청-가입에 편리함이 발생할 수 있다.
6학년 전학
6학년은 중학교 진학을 앞둔 시기이다. 이런 경우 전학을 진행하는 데 고민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전학을 진행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중학교에 진학하기 이전에 전학하는 것이 절차적으로 편리하다.
현재 초등학교 전학의 경우 법적으로 마련된 규정이 없다. 즉 진행이 중학교 진학 이후의 전학 대비 비교적 편리하다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 동일한 초등학교 친구들이 동일한 중학교를 진학한다는 점에서 사춘기와 같은 심리적 변화를 동반하는 시기가 오기 전에 조금이라도 빨리 친구를 만드는 기회를 주는 것이 좋다.
절차 / 신청 방법
초등학교 전학 절차는 전학하고 자는 지역의 전입신고와 함께 진행된다. 전입신고를 하게 되면 신고 완료 필증 수령을 통해 전학할 학교 배정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신고필증을 수령하여 배정된 초등학교에 이를 제출하면 전학 절차가 완료된다. 다만 이에 앞서 진행해야 할 것은 떠나는 학교에 대한 사항들이다.
떠날 학교에는 전학 예정 사실을 전학 약 3-4주 전에 미리 알리는 것이 좋다. 이를 알려야 할 대상은 학교 행정실과 담당 교사이다.
행정실에 이를 알리게 되면 각종 절차를 진행해준다. 이를 진행 과정에서 혹시 미납한 각종 금액이 있다면 이를 정리하게 된다.
담당 교사의 경우 전학할 학생이 남은 기간 동안 본인과 다른 학생들에 배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즉 각종 장기적 수업 과정이 있다면 이에 대한 추후 공백을 미리 대비함은 물론이며 향후 전학할 학교에서 적응을 위한 각종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전학 서류
생각과 달리 초등학교 전학에 필요한 별도의 서류는 없다. 다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입신고 접수증-필증이 가장 주 용한 서류가 된다.
'생활 경제와 상식과 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천절💠 뜻과 의미 / 한자 뜻 / 공휴일 / 고조선 (0) | 2022.09.13 |
---|---|
🌸동백전 🌸 카드 신청과 등록 / 사용처 - 혜택 / 충전한도-캐쉬백 변경 (0) | 2022.09.01 |
🌾🌾처서 (處暑) 한자 뜻🌾🌾 날짜 - 처서매직과 모기? (0) | 2022.08.18 |
🏢아파트 분양🏢 공공분양 - 민간분양 차이점 / 아파트 분양절차 (0) | 2022.08.16 |
[최저임금] 최근 연도별 최저임금 확인과 / 인상의 장단점 확인 (0) | 2022.06.28 |
토지-부동산 재산세 알기 / 부과 기준 - 세율 - 세액 계산법 / 납부기간 (0) | 2022.06.25 |
[연차] 발생-지급기준 / 연차수당-계산방법 / 안주는 회사 처벌 (0) | 2022.06.20 |
♠기초 노령연금♠ 수급자격 / 금액 / 제외대상-지급중지 / 내용확인 (0) | 2022.06.19 |
댓글